![]()  | 
	|||||||||||||||||||||||||||||||||||||||||||||||||||||||||||||||||||||||||||||
  | 
		|||||||||||||||||||||||||||||||||||||||||||||||||||||||||||||||||||||||||||||
     
    
    
    
        글 수 1,043
        
     
    
                        이승환목사
                     
                조회 수 : 5829 
                
                    2012.09.19 (13:14:37)
                 
                
                            많은 사람들이 가족들에게 “사랑한다”, “감사하다”와 같은 표현을 잘 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은 “아니, 그런 걸 꼭 말로 해야 합니까?”라고 말하면서 멋쩍어 하지만 이에 대한 대답은 “네, 말로 표현 해야만 합니다.”이지요. 사람은 들은 만큼만 알 수 있기 때문 입니다. 가족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도 사실은 “다 알겠지.”라고 지레짐작한 채 서로의 마음을 나누지 않는데 그 원인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한 번 여러분의 마음을 작은 편지 속에서 표현해 보시지요. 사랑한다는 한마디 말이나 본의 아니게 상처를 준데 대해 용서를 구하는 내용을 남편에게, 또 아내에게, 그리고 사랑하는 자녀들에게 편지로 보내는 겁니다. 시부모님에게도 오랫동안 감춰왔던 마음을 전해 보십시오. 남편들은 장인, 장모님께 오랜만에 편지로 기별을 알리는 겁니다. 먼데서 오는 좋은 소식은 무더운 여름날의 시원한 냉수 한 사발과도 같습니다. 
                    http://juvision.or.kr/xe/index.php?document_srl=6909
                    (*.53.37.17)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