Ȩ 걳ȸ KDM
조회 수 : 1594
2016.06.27 (21:13:07)

1.오늘의 말씀

 

하나님의 은사와 부르심에는 후회하심이 없느니라 (로마서 11장 29절)

 

2.묵상하기

 

◈왜 가룟 유다만 낙오자가 되었을까? 예수님을 파는 극악무도한 죄를 지었기 때문에? 베드로와 유다를 인간적으로 한 번 비교해보자.

누가 더 큰 죄를 지었는가? 유다는 은 30을 받고 “예수여 평안하십니까?” 하면서 입맞춤으로 예수님이 누구인지 가르쳐주었다. 하지만 베드로는 세 번 부인하고 마지막에는 저주까지 했다(욕했다). 인간적으로 볼 때 베드로가 더 큰 죄를 지었다.

 

누가 더 크게 뉘우쳤는가? 베드로는 닭이 세 번 울자 나가서 통곡했다. 하지만 유다는 양심의 가책을 받고 받았던 은 30을 다 돌려주었고 자신의 죄가 얼마나 큰지를 깨닫고 스스로 목을 매고 죽었다. 이것만 봐도 유다가 훨씬 더 많이 뉘우쳤다.

사실 유다나 열한 제자는 다 같이 부르심을 받았다. 둘씩 파송하여 보내셨을 때 각처에서 회개가 일어나고, 귀신이 쫓겨나가며, 병이 고침 받는 역사가 있었다. 그때 틀림없이 가룟 유다도 거기 있었다(막 6:7-13). 그 역사의 한 페이지를 유다도 함께 기록했고, 그 위대한 장소의 주역이었다. 그런데 왜 베드로는 용서받고, 유다는 용서받지 못했는가?

 

◈공관복음서 전체를 살펴보면, 사실 가룟 유다는 예수님을 배반한 사람이 아니다. 애당초 예수님을 믿은 적이 없는 자라고 해야 맞다. 그래서 그 죄책감을 가지고 예수께 나가지 않았던 것이다. 아니, 스스로를 처리해버렸으니 나갈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는 용서받지 못했다. 용서를 구했다면 용서받았을 것이다. 예수님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예수님의 중보도 소용이 없었던 것이다.

 

우리는 잘 기억해야 한다. 죄를 짓고 죄책감을 느끼는 것이 선한 것이 아니다. 진정으로 선한 삶이란 내 모든 죄책감을 가지고 주님께 나아가는 삶이다. 죄책감으로 나를 처리하지 말고, 그 죄를 처리하신 주님께 나아가라.

책을 잠깐 내려놓고 그대 자신을 돌아보라. 얼마나 초라하고 나약한가? 조금만 느슨해지면 죄를 짓는 정도가 아니라 죄를 즐기는 자신의 모습을 보지는 않는가? 그렇게 용서해달라고 기도해놓고 또 그 죄에 손을 대고 있는 그대를 목격할 때가 어디 한두 번인가? 그래서 그대는 너무나 자주 가룟 유다가 했던 질문을 스스로에게 할 것이다.

‘나 같은 건 죽어야 돼. 난 하나님이 택하신 사람이 아닐 거야! 택하셨다면 이렇게 죄 가운데 넘어지는 나약한 인간일 수는 없어!’

 

◈이제는 자신을 보지 말고 다시 성경을 보라. 주님은 그대를 부르실 때 ‘자기의 원하는 자들’로 부르셨다. 그대의 수준, 그대의 능력, 그대의 됨됨이가 기준이 아니다.

오직 부르심의 기준은 ‘주님의 원하심’이다. 연약해도, 부족해도, 나약해도, 그대는 주님이 원하시는 사람이다. 그것이 하나님의 뜻이다.

그러므로 낙심하지 말고 항상 주님이 원하시는 자리에 있으려고 힘써라. 육체의 집요한 탄성(彈性)으로 진절머리 나는 죄를 또 짓게 되었을 때 가룟 유다의 자리에 서지 말라. 그대를 부르신 제자의 자리에 서라. 그대의 부르심은 ‘영원히 기꺼이’, ‘무조건 흔쾌히’ 부르신 부르심이다.(하나님이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고 느낄 때. 김상권)

 

3.오늘의 기도

주님, 있는 모습 그대로 주님이 원하시는 그 자리에 있길 원합니다. 주님께 나아가는데 방해하는 마음들을 없애주시고 정직한 모습으로 나아가게 하소서. 상한 마음을 어루만져 주시고 새생명으로 살게 하소서.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981 -부활주일(4/4) "예수 부활 하셨네"
이승환목사
3023 2021-03-30
980 사순절 40일 묵상(4/3) "선을 행함으로 그리스도인들이 받는 고난"
이승환목사
3081 2021-03-30
979 사순절 39일 묵상(4/2) "대속하는 여호와의 종"
이승환목사
2810 2021-03-30
978 사순절 38일 묵상(4/1)"버림받은 여호와의 종"
이승환목사
3066 2021-03-30
977 사순절 37일 묵상(3/31) "곤고한 자를 도움시는 여호와의 종"
이승환목사
2845 2021-03-30
976 사순절30일 묵상(3/30) "이방에 빛을 비추는 여호와의 종"
이승환목사
2690 2021-03-26
975 사순절30일 묵상(3/30) "이방에 빛을 비추는 여호와의 종"
이승환목사
2979 2021-03-26
974 사순절 35일 묵상(3/29) "정의를 베푸는 여호와의 종"
이승환목사
2687 2021-03-25
973 사순절 여섯번째 주일(종려주일) "나귀 타신 위대한 왕을 찬송하라"
이승환목사
2807 2021-03-23
972 사순절 34일 묵상(3/27) "참 지도자"
이승환목사
2804 2021-03-23
971 사순절 33일 묵상(3/26) "주를 의지하는 종"
이승환목사
2835 2021-03-23
970 사순절 32일 묵상(3/25) "나의 환란을 주님께 아룁니다"
이승환목사
2710 2021-03-23
969 사순절 31일 묵상(3/24) "나의 앞날이 주의 손에 있습니다"
이승환목사
2833 2021-03-23
968 사순절 30일 묵상(3/23) "믿을 이 주님 뿐"
이승환목사
2746 2021-03-17
967 사순절 29일 묵상 (3/22) "버림받은 자의 찬송"
이승환목사
2770 2021-03-17
966 사순절 다섯 번째 주일 "너는 내 아들이라"
이승환목사
2863 2021-03-17
965 사순절 28일 묵상 (3/20) "찬송하라고 부름 받은 주의 종들"
이승환목사
2173 2021-03-17
964 사순절 27일 묵상(3/19) "하나님 편에 서는 주의 종들"
이승환목사
2954 2021-03-16
963 사순절 26일 (3/18) "의의 종이 되어 거룩함에 이르라"
이승환목사
2828 2021-03-16
962 사순절 25일 묵상(3/17) "구원을 전하는 종"
이승환목사
2174 2021-03-16
Tag List